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전공정3

반도체주식투자_전공정 장비 반도체 주식투자에 앞선 전공정 부분을 이제 마무리하고자한다. 끝은 없지만 최소한의 수준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리고 나의 공부와 복기를 위해 글을 시작하였다. 이 글을 보는 사람들은 모르겠지만 나 자신한테는 확실히 글을 작성해보니 도움이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이 게시물을 클릭한 이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계측장비 웨이퍼 패턴 결함을 검사하는데 필요한 장비이다. 앞선 세정공정 처럼 어느 한 공정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노광 공정 후에도 식각 공정 후에도 필요시에 시행되는 검사 공정이다. 패턴 결함은 반도체 수율과 직결되는 이슈이다. 수율과 상관관계가 깊으므로 중요한 공정이라 볼 수 있다. 결함이 없는 웨이퍼 이미지와 반복 비교를 통해 결함 여부를 확인하고 검출한다. 계측장비의 종류는 크게 2.. 2023. 11. 10.
반도체 주식투자(반도체 전공정 연마/세정) 반도체 주식투자를 위해 공정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하다. 전문가 수준은 아니더라도 기사와 공시를 이해하고자 학습한 내용을 공유하고자한다. 이번 공정은 연마와 세정이다. 직관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는 글로 가볍게 이해하는 식으로 한번 글을 읽어보는 걸 추천한다. 연마 앞서 증착(박막) 공정을 진행한다 했다. 표면위에 반복되는 공정을 거친다. 그렇다보면 그 표면은 울퉁불퉁해진다. 울퉁불퉁해진 표면을 다듬게되는데 그 공정을 연마라고 한다. 연마를 하기 위해서는 회전하는 패드 위에 연마제(CMP Slurry)뿌리게 된다. 연마제를 뿌리고 난 뒤에는 웨이퍼에 압력을 가하면서 웨이퍼를 회전시킨다. 회전을 하며 연마제에 의한 화학작용과 회전에 의한 물리작용이 가해지면서 웨이퍼가 평평해지고 박막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어진다.. 2023. 11. 9.
반도체 주식투자(제조공정_전공정 웨이퍼 산화 포토) 반도체 주식투자에 앞서 최소한의 이해를 돕고자 기사를 읽고 어떤 기업인지 알고 주식을 매수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직장인으로서, 그리고 전공과 관련 없는 사람으로 제가 이해한 부분을 쉽게 작성하여 다수의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본 글을 작성합니다. 반도체 제조공정 반도체는 크게 전공정/후공정으로 나뉘게 된다. 전공정은 회로를 세기기 위한 공정으로 볼 수 있으며, 후공정은 회로가 새겨진 반도체를 실제 제품화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전 공정은 웨이퍼 제조 -> 산화 -> 포토(노광) -> 식각 -> 이온주입 -> 증착 -> 연마 -> 세정 -> 금속배선의 공정으로 거치게 된다. 각 공정의 기본적인 의미를 공감해보자 첫번째, 웨이퍼 제조 웨이퍼 제조이다. 모래에서 규소(실리콘)을 추.. 2023. 11. 7.